핑퐁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10년 간격을 두고 두 번 읽은 후 회사 도서관에서 빌려 읽게 된 박민규 작가의 또 하나의 소설 『핑퐁』. 이 작품을 읽으면서 박민규 작가가 주로 고민하는 주제는 마이너리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류가 아닌 사람들의 이야기.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에서는 마이너리티의 삶을 다루면서도 밝은 기운을 느낄 수 있었다면, 이 작품은 대체로 어둡다. 기발한 상상력과 독특한 문체가 재미를 주는 것은 여전하지만 희망보다는 체념을 느꼈다는 점에서 아쉬웠다.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는 것과 다수의 일부로 살아가는 것의 간극. 수십억 인구 중에서 한 명으로 살아가는 것의 의미. 어쩌면 철학적인 질문을 남기는 작품이라 읽고 난 후 뒷맛이 개운치 않았다.

다만 내 삶의 여러 측면 중 주류를 벗어난 부분에 대해서 위로를 얻을 수 있었다. ‘다들 그렇게 존재하는구나.’ 그렇게 생각해볼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주류의 결정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사람이 되지 않아야겠다고 다짐했다.

가볍게 읽었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고민을 남긴 작품으로 기억될 것 같다.

기도를 멈춘 것은 가족과 함께 말레이시아를 다녀와서였다. 비행기를 타고, 난생처음 구름 이상의 세계로 올라간 것이었다. 보이지 않겠구나. 그때 비로소 알 수 있었다. 육십억과, 오만구천이백사명과, 천구백삼십사명과, 육백삼십육명과, 마흔한명에 둘러싸인 중학생 같은 게 보일 리 없다는 사실을. 아니 실은 육십억의 인류 같은 것도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26쪽)

자신의 라켓을 가진다는 건 말이다, 말하자면 비로소 자신의 의견을 가진 것이란 얘기야. (46쪽)

소외가 아니고 배제야. 벌판을 향해 걸어가며 나는 중얼거렸다. 뭐가? 모아이가 물었다. 따를 당한다는 것 말이야… 소외가 아니라 배제되는 거라고. 아이들한테? 아니, 인류로부터. 살아간다는 건, 실은 인류로부터 계속 배제되어가는 거야. 깎여나가는 피부와도 같은 것이지. 그게 무서워 다들 인류에게 잘 보이려 하는 거야. 다수인 척, 인류의 피부를 파고들어가는 거지. (58~59쪽)

아무튼 얘야. 혜성 같은 건 오지 않는단다. 그냥 계속… 이렇게 사는 거란다. 알겠니? (94쪽)

야, 못… 그러니까 따를 당하는 거야 이 바보야, 널 처음 봤을 때 어떤 느낌이었는지 아냐? 아, 아니. 말하자면 저건… 무슨 이미테이션이 아닌가, 그런 느낌이었어. 이미테이션? 그러니까 진짜 너는 어딘가 다른 곳에 살고, 눈앞의 이건 짝퉁이다… 뭐 그런 느낌이지. (102쪽)

적응이 안돼요. 다들 결국엔 자기 할 말만 하는 거잖아요. 얘길 들어보면 누구도 틀렸다고 할 수 없어요. 왜 그럴까요, 왜 아무도 틀리지 않았는데 틀린 곳으로 가는 걸까요. 내가 이렇게 사는 건 누구의 책임일까요. 무엇보다 그걸 용서할 수 없어요. 60억이나 되는 인간들이 자신이 왜 사는지 아무도 모르는 채 살아가는 거잖아요. 그걸 용서할 수가 없어요. (117쪽)

이윽고 세끄라탱이 낮은 목소리로 속삭였다. 얘야, 세계는 언제나 듀스포인트란다. 이 세계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나는 줄곧 그것을 지켜봤단다. 그리고 이루 셀 수 없는 많은 이들에게 탁구를 가르쳤어. 어느쪽이든 이 지루한 시합의 결과를 이끌기 위해서였지. 하지만 아직도 결판은 나지 않았단다. 이 세계는 그래서 좋다고도, 나쁘다고도 할 수 없는 곳이야. (117~118쪽)

즉 너와 나 같은 인간들은 그냥 빈 공간이란 얘기지. 그렇지 않을까? 즉 보이지 않는 거야. 멀리서 보면 그저 아무것도 없는 캄캄한 공간… 그럼에도 우린 이렇게 존재해. 그럼 우린 뭘까? (171쪽)

너와 나는 세계가 < 깜박>한 인간들이야. (219쪽)

바보 빅터

어디서 들어본 듯한 이야기들이 짜집기 되어 있는 느낌을 피할 수 없었던, 실존 인물들을 바탕으로 그려진 예쁜 동화. 저자는 한 사람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주변 사람들의 영향이 얼마나 큰지, 타인의 평판에 매몰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빅터와 로라를 통해 이야기한다.

열등감이 컸던 어린시절을 떠올리며 읽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자신이 가진 잠재력을 의심하지 않고 노력했던 순간들이 있어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 반대로 한계를 미리 정해놓고 노력하지 않았던 시간들 때문에 여기까지 밖에 오지 못했다. 그러나 이 기준조차도 남들이 정해준 것이었다.

지금은 나의 길을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 어디로 가고 있는지 어디까지 왔는지 나만이 알 수 있는 길. 그 길을 쉼없이 걸으면서, 누군가 자신의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런 사람이 되길 바란다.

2018년 1월 회고

주변 상황 때문인지, 개인의 역량 부족 때문인지 2017년에 느꼈던 안타까움을 다시 한 번 느낀 지난 한 달이었다. 만족스러운 수준을 만들어내기에는 시간과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이 다시 반복되는 느낌. 쉽게 이야기하면 한 달만에 지쳤다.

매일 꾸준히 진행해오던 영어책 필사, 단어 암기 등도 마지막 주에는 어그러졌다.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회사 일도 개인 공부도 억지로 하다가는 부작용이 있을 것 같아서 속도를 줄였다.

이렇게 쫄보여서야 어디 파트 리더 역할을 계속 수행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너무 신경쓸 일이 많았고 스트레스가 심했다. 길게 보고 초조해 지지 말자는 다짐을 스스로 반복하면서도 마음은 그렇지 않았나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자리가 정말 무겁고 그렇게 느껴야 한다는 생각을 자주했다. 부덕의 소치로, 한없는 가벼움으로 주변사람들에게 안좋은 영향을 주었던 순간들을 돌아보며 후회했다. 더 큰 사람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나 자신에게도, 나에게 주어진 상황에 대해서도 실망하지 않겠다.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매 순간 조금 더 나은 결과를 내기 위해 즐거운 마음으로 노력하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더 나은 사람이 되는 것이다. 그것이 행복으로 가는 지름길이라 믿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