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심장을 쏴라

도입부가 잘 안 읽힌다는 심사평처럼 처음엔 다소 지루했다. 책은 덮어두고 영화를 볼까 하는 유혹도 계속되었다. 그러나 꼭대기에 다다르기만 하면 나머지 길은 활강장이 된다는 심사평처럼 끝으로 달려갈 수록 가슴은 뜨거워졌다.

일주일의 폐쇄병동 취재를 마치고 돌아가는 작가에게 환자들이 남긴 말은 ‘우리 한을 풀어달라’였고, 이 책은 작가의 대답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수명,
승민, 만식씨, 김용, 십운산 선생, 거리의 약사, 경보 선수, 한이, 지은이, 우울한 수험생을 통해 그들의 삶 역시 우리와 다르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소설을 읽음으로써 나는 또 한 번 사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음에 감사했다.

“가끔 궁금했어. 진짜 네가 누군지. 숨는 놈 말고, 견디는 놈 말고, 네 인생을 상대하는 놈. 있기는 하냐?” 얼굴이 확 달아올랐다. 화가 났다. 잘 놀고 있다가 별안간 따귀를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 내가 제대로 들었다면, ‘존재의 징표’에 대해 물은 거라면, 내놓을 것이 없었다. 내 인생에서 나는 유령이었다. (p240)

승민의 모습은 희미해졌다가 땅거미 속으로 빨려들었다. 헤드랜턴의 빛만 두어 번 깜박거렸다. 이윽고 그마저 사라져버렸다. 언덕에는 죽음 같은 정적이 흘렀다. 싸늘한 바람이 밤을 몰아왔다. 몸이 떨려왔다.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격한 떨림이었다. 목과 가슴 사이에선 불처럼 뜨거운 것이 오르내렸다. 그 뜨거운 한기에는 두 개의 이름이 있었다. 자신의 세상을 향해 날아간 자에 대한 ‘경외’, 갈 곳이 없는 자의 ‘절망’. (p328)

온전히 나로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서 다시 생각할 기회를 주었다. 무난히 잘 살아가고 있지만 진짜 너의 인생을 살고 있냐고 묻는다면 그렇다고 답할 자신이 없다. 최근 고민은 나에게 지워진 부담을 가볍게 하는 데에만 있었지, 내가 주체가 되어 내가 짊어질 부담을 스스로 선택하는 데에 있지 않았다. 눈 앞에 닥친 현실을 처리하는 데에만 급급해서 내가 정말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에 인색했다. 내소사에 다시 가고 싶어졌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