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퐁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10년 간격을 두고 두 번 읽은 후 회사 도서관에서 빌려 읽게 된 박민규 작가의 또 하나의 소설 『핑퐁』. 이 작품을 읽으면서 박민규 작가가 주로 고민하는 주제는 마이너리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류가 아닌 사람들의 이야기.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에서는 마이너리티의 삶을 다루면서도 밝은 기운을 느낄 수 있었다면, 이 작품은 대체로 어둡다. 기발한 상상력과 독특한 문체가 재미를 주는 것은 여전하지만 희망보다는 체념을 느꼈다는 점에서 아쉬웠다.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는 것과 다수의 일부로 살아가는 것의 간극. 수십억 인구 중에서 한 명으로 살아가는 것의 의미. 어쩌면 철학적인 질문을 남기는 작품이라 읽고 난 후 뒷맛이 개운치 않았다.

다만 내 삶의 여러 측면 중 주류를 벗어난 부분에 대해서 위로를 얻을 수 있었다. ‘다들 그렇게 존재하는구나.’ 그렇게 생각해볼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주류의 결정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사람이 되지 않아야겠다고 다짐했다.

가볍게 읽었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고민을 남긴 작품으로 기억될 것 같다.

기도를 멈춘 것은 가족과 함께 말레이시아를 다녀와서였다. 비행기를 타고, 난생처음 구름 이상의 세계로 올라간 것이었다. 보이지 않겠구나. 그때 비로소 알 수 있었다. 육십억과, 오만구천이백사명과, 천구백삼십사명과, 육백삼십육명과, 마흔한명에 둘러싸인 중학생 같은 게 보일 리 없다는 사실을. 아니 실은 육십억의 인류 같은 것도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26쪽)

자신의 라켓을 가진다는 건 말이다, 말하자면 비로소 자신의 의견을 가진 것이란 얘기야. (46쪽)

소외가 아니고 배제야. 벌판을 향해 걸어가며 나는 중얼거렸다. 뭐가? 모아이가 물었다. 따를 당한다는 것 말이야… 소외가 아니라 배제되는 거라고. 아이들한테? 아니, 인류로부터. 살아간다는 건, 실은 인류로부터 계속 배제되어가는 거야. 깎여나가는 피부와도 같은 것이지. 그게 무서워 다들 인류에게 잘 보이려 하는 거야. 다수인 척, 인류의 피부를 파고들어가는 거지. (58~59쪽)

아무튼 얘야. 혜성 같은 건 오지 않는단다. 그냥 계속… 이렇게 사는 거란다. 알겠니? (94쪽)

야, 못… 그러니까 따를 당하는 거야 이 바보야, 널 처음 봤을 때 어떤 느낌이었는지 아냐? 아, 아니. 말하자면 저건… 무슨 이미테이션이 아닌가, 그런 느낌이었어. 이미테이션? 그러니까 진짜 너는 어딘가 다른 곳에 살고, 눈앞의 이건 짝퉁이다… 뭐 그런 느낌이지. (102쪽)

적응이 안돼요. 다들 결국엔 자기 할 말만 하는 거잖아요. 얘길 들어보면 누구도 틀렸다고 할 수 없어요. 왜 그럴까요, 왜 아무도 틀리지 않았는데 틀린 곳으로 가는 걸까요. 내가 이렇게 사는 건 누구의 책임일까요. 무엇보다 그걸 용서할 수 없어요. 60억이나 되는 인간들이 자신이 왜 사는지 아무도 모르는 채 살아가는 거잖아요. 그걸 용서할 수가 없어요. (117쪽)

이윽고 세끄라탱이 낮은 목소리로 속삭였다. 얘야, 세계는 언제나 듀스포인트란다. 이 세계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나는 줄곧 그것을 지켜봤단다. 그리고 이루 셀 수 없는 많은 이들에게 탁구를 가르쳤어. 어느쪽이든 이 지루한 시합의 결과를 이끌기 위해서였지. 하지만 아직도 결판은 나지 않았단다. 이 세계는 그래서 좋다고도, 나쁘다고도 할 수 없는 곳이야. (117~118쪽)

즉 너와 나 같은 인간들은 그냥 빈 공간이란 얘기지. 그렇지 않을까? 즉 보이지 않는 거야. 멀리서 보면 그저 아무것도 없는 캄캄한 공간… 그럼에도 우린 이렇게 존재해. 그럼 우린 뭘까? (171쪽)

너와 나는 세계가 < 깜박>한 인간들이야. (219쪽)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