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터에서

1900년대 대한민국을 살아온 마씨 집안 이야기. 1910년 태어나 1979년 세상을 떠난 마동수의 이야기를 세상에 정착하지 못하고 겉돌던 아버지를 외면하고 싶었던 두 아들 마장세, 마차세가 이어간다. 시대의 영향을 피해갈 수 없었던 세대의 아픔을 느낄 수 있었다. 이북에서 피난 길을 나서야했던 나의 할아버지,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서 집안을 일으켜야했던 나의 아버지가 떠올랐다. 선대의 노력 덕분에 나와 동생 세대는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어쩌면 당연한 권리를 누리고 있지만, 아버지 세대를 바라볼 때 안타까운 마음을 지울 수 없다. 우리의 다음 세대는 마음에 작은 티끌하나 없이 자신의 삶을 펼쳐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남한산성

남한산성
김훈 지음/학고재

지금 다니는 회사에 면접 보던 날 오후 하이힐을 신은 친구와 정장을 입은 나는 남한산성에 나들이(?)를 다녀왔다. 가파른 산성을 오르 내리며 땀을 뻘뻘흘렸던 기억을 되살리며 이 책을 읽었다. 부끄럽게도 고등학교때 국사공부를 제대로 안했는지 남한산성에 엮인 그 어떤 역사적인 사연도 기억해내지 못한체로 말이다.

김훈의 작품은 <칼의 노래>에 이어 이책이 나에게는 두번째다. 그의 문체는 소재가 주는 느낌 때문인지 몰라도 단단함과 간결함 속에 날이 서있다. 간결함 뒤에 남아 있는 여백에 그가 보여주고 싶은 것의 대부분이 숨어 있다고 해야할까?

<남한산성>은 청나라에 기세에 밀려 남한산성에 억류된 조정의 운명을 그리고 있다. 밖으로 나갈 수도, 그렇다고 안에서 버틸 수도 없는 진퇴양란의 상황에서 벌어지는 주전파와 주화파의 갈등이 이 소설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성문을 열어야 할 시간이 다가올 수록 짙어지는 조선 임금 인조의 체념은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나라면 의를 따랐던 김상헌과 현실을 직시한 최명길 중 누구의 길을 걸었을까? 결국 인조는 스스로 문을 열고 나와 청나라의 칸에게 수모를 당하고 세자와 왕자를 청국에 보낸다. 저항으로 목숨을 잃은 이를 제외한 나머지 백성들은 인조의 굴욕과 상관없이 그들의 삶을 변함없이 이어가고 있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나는 이 의문의 정답은 그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이 쥐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시대에 중요한 가치는 그 시대를 살아냈던 사람들이 결정하므로.

칼의 노래

노무현 대통령이 추천해서 유명해진 책으로 이순신이 주인공이며 1인칭 시점으로 쓰여진 소설이다.

환도와 면사첩을 자신의 방에 놓아두고 바라보며 자신의 운명에 절망했던 그의 모습이 1인칭 시점의 독백으로 잘 나타난다.

책의 진가를 모두 섬렵하기에는 나의 지성의 모자람에 안타까워해야만 했다. 더 많은 책을 읽어 생각이 자랐을 때 다시 한번 깊게 음미하면서 읽어봐야겠다.

책을 읽다가 모르는 단어도 많았고 의미가 머리에 닿지 않는 부분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어렵게 느낀 만큼 우리말의 운치를 멋지게 드러낸 작품이라 생각한다.  

올해 들어 26권째 읽은 책이다. 글을 읽는 능력이나 사유의 능력이 아직은 턱 없이 모자라기에 자꾸만 조바심이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러나 빠르게 읽으려고 노력하기 보다 글을 온전히 즐길 수 있는 읽기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