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

비슷한 시기에 리디북스 페이퍼를 구입한 회사 동료들과 함께 읽은 첫 번째 책이다. 흥미를 가지고 읽기 시작하였으나 워낙 내용이 방대해서 끝까지 읽기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장을 넘길 수 있었던 것은 사피엔스의 미래에 대해 저자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힙겹게 책을 다 읽은 후에도 저자의 마지막 질문이 자꾸 떠올랐고, 여기에 쉽게 답할 수 없다는 사실에 기분이 개운치 않았다.

“우리는 무엇이 되고 싶은가?”

끝없이 진화해온 현생 인류 즉 사피엔스가 고민해야 할 주제이지만 개인의 삶에 대입해 보아도 좋을 것이다. “나는 무엇이 되고 싶은가?”

먼 과거의 인류는 여느 동물과 다르지 않게 여러 종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호모 사피엔스만이 지금까지 살아 남아 현생 인류가 되었다. 왜 네안데르탈인이 아니고 사피엔스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저자는 사피엔스의 강력한 무기로 ‘언어’를 꼽았다. 단순히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가 아니라 존재하지 않는 것들을 이야기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언어’를 말이다. 사피엔스는 ‘언어’를 통해 신화, 종교 등을 이야기함으로서 많은 사람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었고, 이는 사피엔스가 경쟁력을 갖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야기를 지어내어 협력을 이끌어내는 사피엔스만의 능력은 오늘날의 리더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했다. 규모나 목적에는 차이가 있겠으나 사람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야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성공하고자 하는 리더는 항상 고민해야 할 것이다. 어떤 신화를 창조하고 어떻게 구성원들에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해서.

농업혁명의 핵심은 이것이다. 더욱 많은 사람들을 더욱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 있게 만드는 능력.

수렵채집 시절의 인류는 농업 혁명 이후보다 더 행복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루에 3~4시간만 일하면 남은 시간은 자유롭게 보낼 수 있었고, 다양한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더 건강했다. 인류는 조금 더 나은 삶을 위한 선택을 계속해 나갔지만 결과는 아이러니 하게도 인류를 불행한 방향으로 이끌었다. 여기서 배운 교훈을 개인의 삶에도 대입해볼 수 있을 것이다. 미시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일련의 선택들이 모여 거시적으론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

우리는 농업혁명 이후 산업혁명 그리고 과학혁명의 결과로 만들어진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자살로 인한 사망자의 수 보다 적을 정도로 평화로운 시기에 문명의 이기를 누리며 표면적으로는 행복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 처럼 보인다. 그러나 인류의 역사를 통틀어 지금의 평화로운 시기는 상대적으로 매우 짧기 때문에 불안하다고 볼 수 있고, 인류가 아닌 다른 종은 상당 수가 사피엔스로 인해 멸종되었고 가축화된 소, 돼지, 닭은 비참한 삶을 살고 있다. 또 한 번의 선택을 하기 전에 이것이 사피엔스가 원하는 것인지 충분히 생각해 보아야 한다. 처음의 질문으로 돌아와 ‘무엇이 되고 싶은가?’에 대해서 충분히 고민하고 답을 찾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과학혁명의 파급효과가 산업혁명보다 훨씬 강력했던 것 처럼, 그 다음의 변화, 즉 사피엔스의 다음 선택은 인류를 다시 돌아올 수 없는 세상으로 옮겨 놓을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