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정원

오래전 영화관을 찾았을 때 예고편으로 이 영화를 처음 접했다. 이 영화에 관심이 갔던 것은 우리 선배들의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삼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시대배경 속에 두 남녀의 사랑은 어떻게 비극적인 결말을 맺게 될지 궁금했다.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는 배우 지진희가 민주화 운동에 투신한 현우역으로, 염정화는 그를 숨겨준 윤희역으로 나온다. 두 남녀는 스폰지에 물이 스며들 듯 쉽게 사랑에 빠지고 부부나 다름 없는 생활을 이어나가게 된다. 그러나 민주화운동을 함께 하던 동료들을 저버릴 수 없었던 현우는 떠나기를 작심하고, 떠나 보내면 다시는 만날 수 없을 것 같은 예감에 휩싸인 윤희는 그를 보내지 않으려고 한다. 결국 서울로 떠난 현우는 검거되어 무기징혁을 살게 되고 윤희는 후에 병을 얻어 세상을 떠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7년만에 출소한 현우가 어머니로부터 윤희의 죽음을 알게 되고 그녀와 함께했던 공간을 따라 그녀를 추억하면서 영화는 진행된다. 영화의 후반부에 현우는 윤희가 남긴 자신의 딸을 만나게 되는데 딸이 현우에게 묻는다.

“아버지는 행복했나요?”

현우가 대답한다.

“아닌 것 같아. 그 때는 자기만 생각하면 나쁜놈이 되는 시대였거든.”

나는 이 대사가 가장 가슴에 남는다. 평범한 두 남녀가 평범하게 사랑할 수 없었던 어두웠던 우리의 멀지 않은 과거가 씁쓸하게만 느껴졌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평등이 수 많은 선배들이 흘린 피로 성취한 것임을 작금의 젊은이들은 얼마나 알고 있을까?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는 좀 더 좋은 세상을 꿈꾸어도 목숨을 내어 놓을 필요가 없는 세상에 태어났다는 사실에 안도의 한숨을 쉬는 나는 역시 이기적인 사람일까?

“자기만 생각해도 나쁜놈이 되는 시대”는 아니지만 적어도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고 있다면 아직도 공공연하게 일어나는 비합리와 부조리에 분노할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평등이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조금씩 이루어진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나를 포함하여 요즘 젊은 사람들은 “자기만 생각하며” 과연 행복하게 살고 있을까? 선택과 책임은 항상 개인의 몫이겠지만 혼자가 아닌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항상 고민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