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간단히 LCD 패널 제조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ioreg -lw0 | grep IODisplayEDID | sed "/[^<]*</s///" | xxd -p -r | strings -6
LP133WP1-TJA7
Color LCD
LP로 시작하면 LG제품, LSN으로 시작하면 삼성제품입니다.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간단히 LCD 패널 제조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ioreg -lw0 | grep IODisplayEDID | sed "/[^<]*</s///" | xxd -p -r | strings -6
LP133WP1-TJA7
Color LCD
LP로 시작하면 LG제품, LSN으로 시작하면 삼성제품입니다.
지인의 강력한 추천으로 이태원 부자피자에 다녀왔습니다.
한강진역 근처에 1호점 2호점이 있는데 저희는 1호점을 찾아갔습니다. 웨이팅 리스트에 많은 팀이 적혀 있었는데 생각보다 금방 자리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틈틈히 자리에 있는지 체크하고 없으면 가차없이 웨이팅 리스트에서 삭제하고, 차례가 돌아와도 일행이 모두 자리에 없으면 다음 차례로 미루는 정책 덕을 많이 봤습니다.)
저희가 주문한 음식은
바나나 튀김과
생맥주
그리고 부자 샐러드와
버섯피자(콰트로 풍기) 입니다.
부자 샐러드를 처음 봤을때 빵을 무슨 맛으로 같이 먹나 싶었는데, 따뜻하고 부드럽고 샐러드와 정말 잘 어울렸습니다. 콰트로 풍기와 함께 정말 잊을 수 없는 맛을 선사해 주었습니다. 여자친구와 저는 버섯 요리를 참 좋아하는데 지금까지 먹어본 버섯요리 중에서 콰트로 풍기만큼 버섯의 풍미를 강하게 느낄 수 있는 요리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워낙 콰트로 풍기를 맛있게 먹어서 다음에 부자피자를 찾게 된다면 다른 피자를 고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작은 가게지만 요리사, 종업원들이 다들 열심히 일하고 친절하게 손님을 대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음식의 맛까지 인상적이니 손님이 늘 많을 수 밖에 없을 것 같네요. 저도 지인들이 이태원 맛집을 물어온다면 제일 먼저 부자피자를 추천하게 될 것 같습니다.
4세대 하스웰 프로세스가 탑재된 2013년형 맥북에어를 구입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여러번 Mac을 사고 팔기를 반복했습니다.
처음 만난 순간부터 Mac OS X가 참 마음에 들었지만 국내 환경에서 할 수 없는 것들이 많다보니 Mac OS X와 MS Windows를 왔다갔다 하다가 차라리 MS Windows 하나만 쓰자는 결론에 매번 도달하더군요.
다시 Mac으로 돌아가자고 결심하게 된 까닭은 다음과 같습니다.
프로그래밍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유지하려면 회사 업무가 아닌 취미로 프로그래밍을 즐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회사에서 매일 사용하는 Eclipse, Java, Android SDK 보다는 전혀 경험이 없는 Xcode, Objective-C, iOS SDK를 공부하면 배우는 것도 많고 재밌을 것 같았습니다. iOS 앱개발이 아니더라도 Unix를 기반으로하는 Mac은 개발자에게 훌륭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직관적이고 간결한 UI을 제공하는 OS X는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많은 변화가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차기 버전 Mavericks가 기대됩니다. 가을에 출시 예정인데 WWDC 이후에 Mac을 구입했기 때문에 무료로 업데이트 받을 수 있습니다. Mountain Lion보다 배터리를 적게 사용한다고 하는데, Mountain Lion에서도 하스웰 맥북에어는 12시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vericks에서는 몇 시간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이번에는 고장날때까지 사용할 생각으로 최고 사양으로 구입했습니다. 200만원이 넘는 가격이 아깝지 않도록 생산적인 일에 잘 활용할 생각입니다. 앞으로 Mac을 사용하면서, Mac으로 프로그래밍 공부를 하면서 경험한 것들을 조금씩 블로그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수종사는 양평 운길산에 있는 작은 사찰입니다.
이 절이 조금은 특별한 이유는 남한강과 북한강을 내려다 볼 수 있고,
500년 수령의 큰 은행나무를 만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종사의 정취를 몇 장의 사진에 담아 보았습니다.
서울의 지척에 있다고 해서 결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찰은 아닙니다. 주차장까지 차로 올라가는 길이 매우 험하고 그만큼 걸어 올라가기엔 더더욱 만만치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종사에 도착하여 두 한강과 땅과 하늘이 만나는 풍경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고생길을 금세 잊게 됩니다.
수종사 입구에는 처음처럼이라는 국수집이 있습니다. 잔치국수에 곡주 한 잔을 곁들이면 그렇게 맛이 좋을수가 없는데 이번에 갔을때는 문을 열지 않아서 너무 아쉬웠습니다. 염불보다 잿밥에 더 관심이 많다고 수종사를 찾은 이유의 절반은 “처음처럼”에 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옷깃을 여미게 만드는 찬바람이 불어오는 계절엔 꼭 한번 “처음처럼”의 뜨끈한 잔치국수를 맛보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