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따윈 쓰레기통에 던져버리기

나는 내가 얻어낸 결과들이 처음에 세웠던 목표와는 거의 관계가 없고, 사실 모든 것은 시스템에 달려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목표를 완전히 무시하고 오직 시스템에만 집중한다면 그래도 성공할까? … 나는 ‘그렇다’고 생각한다.​

성공한 사람도, 성공하지 못한 사람도 목표는 같다. … 결과에 차이가 생긴 건 지속적으로 작은 개선들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시행한 것, 그뿐이었다.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우리 인생의 ‘한순간’을 변화시킬 뿐이다. 이는 ‘개선’과는 다르다. … 진짜로 해야 할 일은 결과를 유발하는 시스템을 바꾸는 것이다.

목표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태도의 문제는 다음 표지판에 도달할 때까지 행복을 계속 미룬다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목표 설정보다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개선하고 발전해나가는 순환 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즉, ‘과정’에 전념하는 것이 ‘발전’을 결정한다.

돈을 위해 일하지 말고 교훈을 얻기 위해 일하라

교육을 많이 받은 아버지에게는 직업의 안정성이 모든 것을 의미했다. 부자 아버지에게는 배움이 모든 것을 의미했다.

1973년에 베트남에서 돌아온 나는 비행기를 조종하는 것을 무척 좋아했음에도 제대를 선택했다. 그러고는 제록스 사에 입사했다. 내가 제록스에 들어간 것은 오직 한 가지 이유 때문이었고, 그것은 보수가 아니었다. 나는 수줍음이 많은 사람이었으며, 따라서 내게 있어 세일즈는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일이었다. 제록스는 미국 최고의 세일즈 훈련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었다.

나는 제록스 사에서 사 년 동안 일하며 집집마다 문을 두드리고 거절당하는 데 대한 두려움을 극복했다. 일단 세일즈 분야에서 탑5에 이름을 올리게 되자 나는 다시 좋은 회사의 전도유망한 직장을 뒤로 하고 다시 앞으로 나아갔다.

2007년부터 시작된 나의 커리어를 돌아보면, 조직이 나에게 기대하는 바를 충족시키기 위해 애썼고, 덕분에 조직내에서 안정적인 지위와 평판을 얻는 지점에서는 나름대로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성장의 측면에서는 너무나 많은 비효율을 낳았다. 2017년~2019년 3년 동안 중간관리자 역할을 수행했던 것이 내가 가고자 하는 길에 필요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었을까? 마흔이 되도록 가고자 하는 길이 무엇인지도 모른다는 것이 근원적인 문제다. 조직 내에서 인정 받고 싶다는 마음으로 지금까지 달려오지 않았나 싶다.

​같은 곳에서 같은 일을 해도,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으냐에 따라서 순간순간 일에 임하는 마음가짐과 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이 다르다. 이제는 배움의 관점에서 일을 대하려고 한다. 시간차가 있겠지만 성과와 성취는 배움의 결실로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다.

병아리반

지난주까지 아이는 만 1세 병아리반 소속이었고, 이번주부터 만 2세 기린반 소속이 되었다.

어린이집 적응에 어려움이 있어서, 다른 어린이집을 알아보아야 하나 심각하게 고민하던 시기도 있었는데, 병아리반 선생님들의 사랑과 배려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

아이는 성장과정에서 많은 사람과 만나고 헤어질 것이다.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하려고 하다보니, 아이가 겪어야 할 헤어짐과 그에 따르는 아픔이 고스란히 나에게 전해지는 것을 느낀다. 병아리반 선생님들이 지난주 금요일에 아이들이 떠난 병아리반을 정리하며 겪었을 슬픔을 떠올리면 괜히 내 마음도 먹먹해진다.

같은 건물에 있으니 오가며 마주치겠지만, 같은 방에서 같이 호흡하던 순간은 영원히 다시 오지 않는다.

아이가 만 3~5세반으로 올라갔을 때 병아리반 선생님들을 다시 만나게 되길 바란다.

BTS

‘방탄소년단이라는 이상한 이름의 아이돌 그룹이 존재하고, <작은 것들을 위한 시> 노래 하나는 꽤 괜찮다.’

이정도가 내가 한 달 전까지 BTS에 대해 알고 있는 전부였다.

<Dynamite>를 계기로 BTS의 노래를 더 많이 접하게 되었고, 지금은 팬까지는 아니더라도 BTS의 매력을 알고 그들의 노래를 즐기는 수준에 이르렀다.

아내와 딸은 BTS의 열렬한 팬이 되었다. 이제 31개월 된 딸은 전 멤버의 이름을 외우고 정국이를 가장 좋아한다. 최근엔 누가 노래를 부르고 있는지 목소리로 구분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투자 목적으로 빅히트 공모주 청약하여 2주를 받았는데, 아내가 BTS의 팬이 아니었다면 상장일에 팔아서 더 큰 수익을 남겼을 것이다. 현재 수익률은 38%인데, 향후 수익률과 상관없이 팬심으로 계속 보유할 것 같다.

BTS를 보다가 다른 남자 아이돌 그룹의 공연을 보면 수준이 한참 떨어진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특히 안무가 그렇다. BTS의 안무를 보면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안무가의 창의성에 찬사를 보내게 된다.

BTS가 매력적인 가장 큰 이유는 멤버들에게 있다고 본다. 멤버 한 사람 한 사람이 완전히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들의 조합이 완벽하게 느껴진다. RM의 리더십도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을거라 생각한다.

우리집의 최애곡은 <DNA>. 오늘도 10번 이상 듣게 되지 않을까 싶다. 딸 아이는 신나는 춤사위를 보여주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