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미래가 온다 다니엘 핑크 지음, 김명철 옮김/한국경제신문 |
참으로 사연이 많은 책이다. 이 책을 산 것은 상당히 오래전 일인데 내가 읽기 전에 지연누나가 빌려갔다. 그런데 이윤준 교수님이 이 책을 빌려가셔서 깜깜무소식이었다. 결국은 한참 후에 새책으로 사주셨고 지연누나가 읽은 후에야 돌려받을 수 있었다. 리뷰를 쓰는 지금 이 시점에 책의 표지가 세련되게 바뀐 것을 보면 적잖이 시간이 흘렀나보다.
워낙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것을 중시하고 좋아해서인지 몰라도 읽는내내 다소 따분했다. 아무튼 책은 다음과 같은 논리로 전개된다. 먼저 우뇌와 좌뇌의 역할에 대하여 논한다. 좌뇌는 순차적이고 분석적이며 우뇌는 큰 조화를 이루는 능력, 큰 그림을 그리는 능력을 담당한다. 지금까지 사회는 육체적 능력이 중시되던 사회에서 좌뇌의 능력이 중시되는 사회로 발전해 왔으며 앞으로는 우뇌의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성공하게 될 것이라 주장한다.
그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근거로 저자는 “풍요”, “아시아”, “자동화”를 들고 있다. 단어만 듣고도 누구나 대략 예상되는 흐름을 짐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는데, 내가 속해 있는 전산분야를 예를 들면 인도의 저렴한(?) 프로그래머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철저히 서양중심적인 사고관으로) 미국, 캐나다, 영국에서는 좌뇌형 직업인 프로그래머보다 또다른 우뇌형 직업이 유망할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패러다임의 변화에 설득력을 더한 후에 저자는 미래인재의 6가지 조건(디자인, 스토리, 조화, 공감, 놀이, 의미)을 제시한다. 각각의 조건에 대하여 수많은 사례와 근거를 들어가며 이야기를 전개한다. 책에서 철저히 좌뇌형 인재로 분류하는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을 이제 막 시작한 나로서는 좌뇌형 능력을 갖추기에도 급급한 상황이지만 항상 숲을 바라보고 패러다임의 변화를 잡을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는데에는 어느정도 공감이 된다.
다시 책 리뷰가 부활했군요;
그나저나 저도 송준화 교수님한테 빌려드린 ‘API로 배우는 Windows 구조와 원리’ 되돌려 받아야 하는데…. (먼산)
연구소에 복귀하니까 비교적 시간을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어서 책 읽을 여유가 있네요. 송준화 교수님께 빌려드린 책은 이야기 안하면 돌려받기 힘들 것 같은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