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리어스

curios_book

저자는 두 가지 사례를 가지고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 조지아 주 애틀랜타 인근에 있는 언어연구소에서 원숭이 칸지는 상징 기호를 이용한 의사소통을 배우게 됩니다. 그러나 단 한 번도 칸지는 “왜?”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습니다.
  • 한 때 잘 나가던 영국 TV 프로듀서 존 로이드는 극심한 슬럼프, 우울증에 빠집니다. 그는 이 시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해놓은 방향없이 지적 호기심이 시키는대로 책을 선택하여 읽기 시작했고, 공부의 즐거움을 깨닫게 됩니다. 내가 누구인지, 어떤 것의 본질인지 알고 싶다는 지적 욕구가 그를 이끌었고, 6년의 시간이 흐른 후 그는 QI라는 예능프로그램을 기획하여 큰 성공을 이루게 됩니다.

저자는 “호기심”을 “식욕, 성욕, 주거욕”에 이은 네 번째 호기심으로 정의하고, 현대사회는 호기심 충만한 인재를 원한다고 이야기 합니다. 서구사회가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로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호기심을 억제하기 보다는 장려한 덕분에 과학적 진보가 이루어진 점을 꼽고 있습니다.

어딜가나 창의성, 혁신을 이야기하는 시대에 호기심이 많고 지적 탐구를 즐기는 사람이 성공할 확률도 높아 보입니다. 호기심이 없는 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겐 이러한 사회현상이 반갑지 않을 수 있겠지만, 다행히도 저자는 호기심을 “특질”이 아닌 “상태”라고 이야기 합니다. 노력 여하에 따라서 호기심이 충만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서문에서 호기심의 중요성을 설파했다면, 이후에는 호기심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두 가지 주제를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호기심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생겨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알고 있는 것과 모르고 있는 것 사이의 공백을 메우고자 하는 욕망이라고 합니다. 진보주의 교육자들은 어린아이의 순수한 호기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식을 주입하는 교육방식을 배제하고 그들이 스스로 배울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저자는 호기심은 한 사람이 알고 있는 지식을 기반으로 생겨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지식을 배우는 교육도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우리가 어린시절 받았던 주입식 교육에도 긍정적인 면이 있다는 생각에 안심이 되기도 하지만, 지식을 익히는 것에 만족하고 지적 탐구심을 발휘하는 수준까지 나아가지 못했기 때문에 아쉬움이 남습니다. 이 책을 읽은 후로는 공부를 하거나 인터넷에서 기사를 읽을때 궁금증이 생겨도 그냥 모르고 지나칠 주제에 대해서 그 자리에서 즉시 찾아 보거나 아니면 나중에 찾아볼 수 있도록 Evernote의 Question 노트북에 기록해 둡니다. 부지런히 지식을 쌓는 한편으로, 그 과정에서 알고 싶은 것이 생기면 흥미를 가지고 깊이 알아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 다른 화두로 저자는 인터넷을 위시한 디지털 기술과 호기심의 관계에 집중합니다. 인터넷은 다양성 호기심을 충족시키기에 너무나 훌륭한 공간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다양한 주제, 다양한 형식의 컨텐츠 사이를 쉼 없이 옮겨 다닙니다. 덕분에 다양한 분야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지만 하나의 주제를 깊이 사고하는 능력은 잃어가고 있습니다. 길고 어려운 글을 끈기있게 읽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인터넷과 모바일은 인류가 축적한 지식을 언제나 어디서나 열람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지적 호기심을 추구하는데 훌륭한 도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손바닥 안에서 원하는 지식을 찾아볼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지식을 익힐 수 있는 다양한 기회들이 주어지는 환경에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은 개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호기심을 발현하고 지적 탐구심을 발휘하기에 너무나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기회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채 시간을 허투루 보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래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라도 새로운 것, 모르는 것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깊이 이해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겠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