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이런 방법이 우리 삶에 도움이 되지도 않을 뿐더러 결코 만족감을 줄 수 없다는 데 있다.
최근에 본 YouTube 영상에서 도파민을 삶을 원하는 방향으로 끌어가는 데 활용하는 법을 배웠다.
한 번에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읽고 있는 책의 내용과 나의 경험을 종합하여 겨우 이해할 수 있었다.
요약하면 노력을 기울이는 과정 그 자체를 목표로 삼아 도파민을 뽑아내자는 것이다.
최근에는 목표 달성 이후의 성과, 보상, 타인의 인정을 생각하지 않으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한다.
그저 오늘 내가 해야할 일을 몰입해서 하고 있는 그 순간에 스스로 뿌듯함을 느끼려고 노력한다.
달리기를 할 때 이 원리를 연습한다.
골인 지점을 생각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달리기로 인해 향상될 자신을 생각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뛰고 있는 지금을 생각한다. 집에서 시원한 맥주를 마시며 드라마를 봐도 좋을 시간에 굳이 더운데 공원에 나와 무거운 몸을 이끌고 뛰고 있는 자신을 대단하다 여긴다. 그 순간 나는 도파민을 느낄 수 있다.
최근에 읽은 여러 책에서 이미 자신의 삶에서 원하는 바를 성취한 많은 사람들이 이 원리를 실천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누구도 나를 파괴할 수 없다 – 데이비드 고긴스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 무라카미 하루키
레전드는 슬럼프로 만들어진다 – 박정태, 김종모, 송진우, 김용수
저는 ‘무조건 열심히’ 입니다. 무조건 열심히 하면 저는 다 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결과를 바라고 하는 게 아닙니다. 저한테 목표는 ‘ 내가 연습을 얼마나 하겠다’ 그게 목표입니다. 그렇게 하면 되니까. 뭐가 되겠다, 타격왕이 되겠다. 이번 시즌엔 타율을 여기까지 끌어올리겠다. 이런 목표를 설정해서 가면 피곤하니까. 내 목표는 노력이죠!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고 도전하는 거. 그것만 설정해 놓으면, 시합에 나가면 자동적으로 강해집니다. 준비만 탄탄히 하면 (결과로서의) 목표는 필요 없습니다. – 박정태
내 삶의 스위치를 딱 켜줄 동기부여의 계기를 찾아 헤매던 긴 방황의 끝이 보이는 듯 하다.
가진 게 없고 미래가 불투명했던 학생 시절에는 ‘불안’과 싸우기 위해서라도 ‘노력’이라는 걸 했다. 지금도 미래에 대한 걱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불안’을 연료삼아 무언가 하기에는 가진 게 너무 많다.
부모님으로부터 좋은 유전자를 물려 받아서, 살면서 좋은 사람들을 많이 만나서, 그렇게 운이 좋아서 감사하게도 노력대비 많은 것을 누리며 살고 있다. 이대로 살아도 운이 계속 함께해서 삶이 그럭저럭 괜찮게 흘러갈거라는 막연한 ‘기대’가 특별한 ‘노력’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것 같다.
그런데 그런 삶이 스스로에게 만족스럽지 않아서, 끊임없이 자기계발서나 성공한 사람들의 수필을 읽는다. 성장하고 성취하고 세상에 기여하며 스스로 만족스러운 삶을 살고 싶어서, 그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 하고.
좋아하는 일을 잘 하는 데 필요한 것들을 나열하고, 그것들을 얻기 위해서 필요한 행동들을 적절한 크기로 나누어 시간표에 넣고, 실행에 옮긴다. 이 과정을 평생 반복한다.
이것이 지금까지 내가 찾은 비결이다.
할 일을 시간표에 넣었는지 여부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인 것 같다.
최근 노션에 생긴 Sprint, Project, Task 기능을 활용해 주 단위로 Sprint를 생성하고 앞으로 2~3달 동안 할 일을 Sprint에 할당했다. 이렇게 하니까 비로소 꾸준한 노력이 가능해졌다.
맞벌이 육아로 여유가 없다고 징징대는 대신, 방법을 찾아서 실행하는 데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22년이 원하는 삶을 스스로 선택하게 된 해였다면, ’23년은 꾸준한 노력을 시작한 해로 기억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