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2주차 달리기 (feat. 써코니 엔돌핀 스피드 4, 요헤미티 에너지젤)

JTBC 마라톤 풀코스 얼리버드 참가 등록에 성공한 2024년의 마지막 주에는 주간 마일리지를 늘려 34.06km를 달렸다. 당분간은 주간 마일리지 30~35km를 유지할 생각이다. 2025년 상반기까지 주간 마일리지를 50km 이상으로 맞춰야 한다.

마일리지를 안전하게 늘리기 위해 주중에는 하루 더 달리고 속도를 늦추는 대신 거리를 0.5km씩 늘렸다.

일요일 아침에는 요헤미티 에너지젤을 섭취하고, 써코니 엔돌핀 스피드 4(이하 엔스4)를 신고 10K 달리기를 시작했다.

지난주보다 평일에 더 많이 달려 피로가 쌓여있는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엔스4와 요헤미티 에너지젤 덕분에 10K를 537 페이스로 경쾌하게 달릴 수 있었다.

에너지젤 리뷰를 먼저 해보자면, 엔요헤미티 에너지젤은 엔업 파워젤 대비 더 달고 묽다. 묽은데도 너무 달아서 물 없이 섭취가 힘들 것 같다. 에너지젤로서의 근본적인 효능은 엔업 보다 낫다는 느낌을 받았다. 다른 변수의 영향일 수도 있겠지만, 오늘의 경우에는 10K 달리기를 마칠 때까지 에너지가 유지되었다.

1080v13의 마일리지가 700km를 돌파하여 이를 대체할 카본 플레이트 없는 러닝화를 탐색하던 중 엔스4를 알게 되었다. 요즘 인기 있는 러닝화는 구하기가 정말 힘든데, 다행히 엔스4는 끝물이라 그런지 써코니 공식 수입원인 ABC마트 그랜드 스테이지에서 280 사이즈를 구입할 수 있었다.

아치 쪽 어퍼가 타이트해서 걱정이 되었지만, 어퍼가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어서 10K를 달려봤을 때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뉴발란스 1080v13, SC트레이너v3 모두 2E 280을 신고 있는 나에게 엔스4 280은 대체로 잘 맞았다.

엔스4의 무게는 233g으로 기존에 신던 러닝화보다 약 30g 가볍다. 가벼워서 그런건지 발구름이 경쾌하여 케이던스 180 이상을 쉽게 뽑을 수 있었다. 반발력도 좋아서 보폭도 어렵지 않게 1m 이상을 뽑아낼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몸에 가해지는 충격은 SC트레이너v3 보다 적은 듯 했다.

새 러닝화여서 그런건지 주로에 얼음이 녹아서 그런건지 몰라도, 접지력이 좋다는 것을 러닝화를 신고 달리면서 처음으로 느낄 수 있었다. 마치 3시리즈를 탈 때 썸머 타이어를 끼고 달리는 느낌이랄까? 러닝화의 접지력이 좋으면 내 몸이 만들어내는 에너지를 더 많이 전진 에너지로 바꿀 수 있을테니까 러닝 이코노미 측면에서도 유리할 것 같다.

엔스4를 신으면 달리기가 즐거워진다는 여러 러너분들의 리뷰가 허언(?)이 아님을 직접 느껴볼 수 있었다. 다음 달리기가 기대된다. 써코니 러닝화의 팬이될 것 같다.

241225 GV70 신차 길들이기 완료

신차 길들이기 마일리지로 잡았던 3,000 km를 9월 24일 출고 후 3달 만에 돌파했다. 그동안 3,000 RPM 이하로 주행했고, 스포츠 모드를 사용하지 않았다.

어제 퇴근 길에는 봉인(?)이 풀린 기념으로 스포츠 모드를 잠깐 써봤다. 컴포트 모드에서도 워낙 출력이 좋아서 스포츠 모드는 아주 가끔 재미로 쓰게 될 것 같다.

누적 트립 상으로 3,000 km를 주행하는 데 123시간이 걸렸고 평균 연비는 8.5 km/l를 기록했다. 평균 속도를 계산해보면 24.39 km/h으로 정체 구간이 많았다. 공차 중량, 출력, 평균 속도를 고려하면 크게 나쁜 연비는 아니다. (공인연비: 도심 8.5, 고속도로 11.9, 복합 9.8)

총평을 해 보자면 비싼 가격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정말 만족스럽다. 눈에 보이는, 손에 닿는 모든 것들이 예쁘고 고급스럽다. 운전할 때 시야도 좋고, 시트도 편하고, 주행 성능도 주행 감성도 SUV라는 생각이 안 들 정도로 훌륭하다.

특히 주행 감성이 좋다. 부드럽게 운전하면 실키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그렇다고 즉결감이나 민첩함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반자율 주행 기능도 안정적이어서 고속도로 구간의 대부분을 반자율 주행에 맡긴다. 좋은 승차감과 반자율 주행 덕분에 출퇴근 운전 피로도가 절반 이하로 줄었다.

내가 가진 가장 좋은 의자와 스피커가 GV70에 있어, 요즘에는 막히는 출퇴근 길에 GV70을 클래식 청음실로 활용하고 있다. 방음이 잘 되어 있고 노이즈 캔슬링도 작동해서, 클래식 음악을 즐기기에 최적의 장소다.

2025 JTBC 마라톤 풀코스 참가 신청 완료

가능성이 매우 낮고, 되어도 고생길이 훤하다는 것도 알고 있었지만, 오늘 아침 당첨을 바라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다.

오후 3시 경에 운명적인(?) 당첨소식을 전달 받았고, 망설임 없이 결제까지 끝냈다.

11월 2일까지 약 10개월의 시간. 그때까지 할 수 있는 것을 다해서 스스로 만족스러운 레이스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승부는 거의 출발점에서 정해진다.

2024년 51주차 달리기 (feat. JTBC 마라톤 얼리버드 티켓 신청)

이번주에도 힘겹게 주간 마일리지 25km를 채웠다.

1080v13의 수명이 다 되어서, 금요일 아침에는 오랜만에 SC트레이너v3를 신고 달렸는데, 아니나다를까 종아리, 허벅지 근육이 뭉치는 현상이 바로 나타났다.

비카본 데일리 조깅화를 하나 구비할 때가 온 것 같은데, 무엇으로 해야할지 잘 모르겠다. 쿠폰으로 반값에 구입할 수 있는 1080v14가 가장 무난한 선택이 되겠지만, 300g의 무게가 걸리기도 하고 뉴발란스가 아닌 다른 브랜드의 러닝화를 신어보고 싶기도 하다.

일요일 가족모임 시간을 피해서 달리기에는 체감온도가 많이 낮아서 토요일에 10km를 달렸는데, 30~40% 구간은 빙판길이었다. 보폭을 좁히고, 지면접촉시간을 최소화하면서, 630-700 페이스로 천천히 달렸다. 오랜만에 천천히 달리는 것의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빙판길이 너무 미끄러워서 중간에 집으로 돌아갈까 잠깐 고민했지만 그냥 달리기로 했다. 살면서 어려운 길을 수차례 만나게 될텐데 그때마다 피해갈 수는 없겠다고 생각하면서.

목요일에는 JTBC 마라톤 풀코스 얼리버드 티켓을 신청했다. 겨우 1,000명 뽑는 것이어서 경쟁률은 20:1 이상일 것 같다. 운이 좋아 당첨된다면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10개월의 풀코스 마라톤 준비 프로젝트를 시작해야겠다.

2025 서울하프마라톤 하프코스 참가 신청 완료

2025년 4월 27일에 열리는 서울하프마라콘 하프코스 참가 신청에 완료했다.

240428 서울하프마라톤 10km

2024 서울하프마라톤 10km 코스를 달렸을 때 너무 좋았기에, 2025 서울하프마라톤은 꼭 신청에 성공하고 싶었다.

바램이 하늘에 닿았는지 운이 좋아서 하프코스 신청에 성공했다. 러닝 커뮤니티를 보니 쉽진 않았던 것 같다.

이로써 2025년에 하프코스 2번 달리게 되었다. 오늘 아침에도 달리러 나가는 게 쉽지 않았는데, 동기부여가 확실히 될 것 같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잘 달린다고 돈이 나오고 쌀이 나오는 것도 아닌데 그냥 잘 달리고 싶다. 스스로 꽤 괜찮은 사람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