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틀 전에 27km를 달렸고 앞으로도 마일리지를 채우는 일상의 훈련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무리하지 않고 즐겁게 달리기로 했다.
50분 페이스 메이커를 발견했을 때 따라가고 싶은 본능이 꿈틀거렸지만 잘 참았고, 느긋하게 60분 페이스 메이커 한참 뒤에서 출발했다. 입문 러너들이 많은 대회여서 병목이 심했지만 굳이 추월하지 않고 흐름에 맞춰 천천히 달렸다.
초반에 꽤 더워서 오늘 힘들겠다 싶었는데, 선유도 지나면서 선선한 바람이 불어와 몸을 식혀주었다.
반환점을 돌아 빠르게 달려오는 선두권 주자들의 고통으로 일그러진 얼굴을 보며 달렸는데,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아름답다고 생각했다.
레이스 후반에는 추월차로(?)가 자꾸 눈에 들어와 외면할 수 없었다. 펀런이고 뭐고 마음이 가는대로 냅다 달렸다. 순간 페이스는 430에 근접했다. 걷는 사람들이 속출하는 레이스 후반 나홀로 질주(?)는 짜릿했다.
펀런과 빡런이 섞인 묘한 레이스를 마치고, 한강 둔치에 앉아 시원한 바람과 풍경을 즐기며 성취감과 소보루빵을 함께 천천히 음미했다. 행복했다.
그 순간 은퇴 후의 삶을 상상해봤다. 전국의 아니 세계의 마라톤 대회를 즐기는 삶은 어떨까 하고. 마라톤 대회는 죽을때까지 질리지 않을 것 같다.
여의도에서 출발해서 (혼자서도 공짜로 달릴 수 있는) 보행로, 자전거도로를 달리는 대회가 무슨 매력이 있을까 싶었는데, 한마디로 좋았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하는 데서 오는 즐거움이 있었다. 레이스가 끝나고 쉴 수 있는 공간이 많아서 마라톤 대회 장소로서 여의도는 더 좋았던 것 같다.
돌아오는 길에 여의나루역 러너스테이션을 잠깐 둘러봤는데 기대만큼은 못했다. 그래도 퇴근 길에 들러 옷 갈아입고 짐 보관하고 한강 야경을 즐기며 달리는 것도 가능하겠구나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