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에는 5번의 장거리 달리기를 포함해 248km를 달렸다. 6월의 가장 큰 성과는 남산북측순환로 3회전을 두 번 달린 것이다. 언덕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었고, 심폐지구력 측면이나 근지구력 측면에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올해 초 계획상으로는 6월 쯤이면 월 300km 마일리지를 달리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해보니 무리였다. 시간도 안 되고, 체력도 안 된다. 8월까지는 240~250km를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인 선택이다. 더위가 지나가면 270~280km까지 늘려볼 생각이다.
훈련을 착실히 쌓아갈수록 몸에 쌓이는 데미지가 줄어들고, 회복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시간을 더 들이기는 어렵겠지만 상승 고도를 늘리는 쪽으로 훈련의 질을 높여볼 생각이다. 6월에는 상승고도 1857m를 기록했는데, 7월에는 2000m를 목표로 달려보겠다.












코로스에서 가민으로 갈아타고 나서 다양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매월 현재의 수준을 블로그에 남김으로써 정진하려고 한다.
한 달 동안 내가 가진 모든 역량을 가민에게 알리기 위해 노력한 덕분에 대부분의 지표에서 만족스러운 숫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욕심나는 지표는 힐 스코어다. 남산에 다녀온 후 상승하였다가 최근엔 하락세다. 빨리 남산에 다녀와야겠다. 업힐을 두려워하지 않는 러너가 되고 싶다.
저강도 유산소 운동이 부족하다. 평일에는 좀 더 천천히 달릴 필요가 있다.
평지만 달렸을 때 기준으로 매주 달릴 수 있는 거리는 104km라고 한다. 회사에 안 다닌다면 가능할까? 현실은 50km도 쉽지 않다.
가민은 수면(회복)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 수면 시간이 늘 부족하지만, 어쩌다가 충분히 잘 잔 다음날에는 인터벌을 하라고 하는데 페이스가 3분대 초반이다. 당연히 나의 선택은 무시. 보통은 가민이 추천하는 것보다는 멀리, 오래 달린다. 여름휴가라도 가야 수면 점수 100점을 볼 수 있을까?
11월 2일 JTBC 마라톤을 지금 달린다면 예상 기록은 3시간 56분 38초. 현재 페이스로 계속 훈련하면 대회 당일에는 3시간 43분 48초까지 기록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가민의 예상이 맞으면 얼마나 좋을까?
일상의 삶의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걸 해보려 한다. 아쉬움이 남지 않도록.